본문 바로가기

Coding127

Git - github flow github flow github를 사용하면서 github에 대한 flow를 하기 그림으로 설명하면... - 4부분으로 분활을 한 부분을 보통 repository 라고 부르고 일명 repo라고 많이 부른다. - upstream repo는 각자 수정하고 새로만든 코드들을 merge 하는 곳. 즉, 각자 한 코드를 한곳으로 모으는 곳이며, 최종 코드를 배포할 때 많이 사용. 주로 시니어들이 upstream repo를 만들고 거기에 middle or junior 들이 upstream 코드를 clone을 하고 각자의 코드를 upstream으로 merge를 한다. - origin repo는 upstream의 코드를 자신의 github repo에 clone을 하게 되면 생기는 repo이다. 특히 코드를 받을 때 u.. 2021. 9. 11.
Javascript - node.js node.js는 Javascript가 돌아가는 run time 환경이다. 공식 홈페이에서도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이렇게 기술 되어 있다. 우선, command line에서 자신이 지금 사용하고 있는 node version을 확인 하려면 command line에 node -v 해보면 현재 node의 version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을 하다보면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는 일들이 생기고, 협업 사람들끼리 사용하는 node version을 맞출 필요가 있다. 특히 호환성 때문에 초기 set up 작업을 하면서 node version을 맞추고 시작하는것이 좋다. 나중에 git merge를 통해서 각자 코.. 2021. 9. 11.
Server - node - express -typescript typescript로 node환경에서 express server를 만들어 보았다. npm init command line에 npm init을 하게되면 app_name, author, version...등등을 입력을 할 수 있다. npm init 뒤에 -y 옵션을 주면 입력을 하지않고 기본적으로 package.json을 만들수 있다. 이렇게 npm init을 하고 package.json을 만들고 필요한 라이브러리 들을 설치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express와 typescript를 설치를한다. npm i typescript express @types/express ts-node 그리고 나서 tsconfig.json을 설정해서 type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최상위 디렉토리에) { "compil.. 2021. 9. 5.
Javascript - try...catch...finally node server에서 error 처리는 필수이다. 회사에서 recorder server를 처음 만들었을 때, error 처리를 하지 않아서 server에 응답 값을 계속 기다리게 되었고, 이후에 코드가 실행 되지 않아서 문제가 생겼다. 녹화기능을 만들기 위해서 kurento 미디어 서버에서 응답 값이 넘어오지 않아서... 이후의 코드가 실행이 되지 않고.... 아무런 error도 보내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최소한 res.status(400).end() 400 error라도 보내줘야 한다. 그래야 이후의 코드가 실행되면서 error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error 처리가 없는 경우 router.post('/room', (req, res)=>{ if (!recorder) { ret.. 2021.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