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ding127

CSS - 그림자 넣기 (shadow) CSS를 활용하여 HTML에 그림자 효과를 낼 수 있다.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넣을 수 있다. *text-shadow를 활용하면 된다. *2px, 2px은 그림자의 x와 y축 방향을 나타낸다. 크기가 거질수록 그림자 멀어진다. *세번째 2px는 spread 효과이다. 그림자 글자의 퍼짐 정도를 넣을 수 있다. *네번쨰 red는 그림자의 색깔을 넣을 수 있다. -box에 그림자 효과를 넣을 수 있다. *box-shadow를 활용하면 된다. *2px, 2px는 그림자의 x와 y축 방향을 나타낸다. text-shadow와 유사하게 크기가 커질수록 그림자가 멀어진다. *세번째 2px는 spread 효과이다. 그림자의 퍼짐 정도를 넣을 수 있다. *네번째 2px는 spread 효과의 진하기를 나타낸다. *다섯번.. 2020. 5. 22.
CSS - HTML에 적용 방법 CSS 효과를 HTML에 적용 하는 방법 - inline 방식 *장점 : HTML에 직접 입력하기 때문에 가시적이다. *단점 : HTML은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CSS를 직접 입력하면 코드가 복잡함. -HTML 내부에 Style 태그 방식 *장점 : inline 방식에 비해 코드의 복잡하지 않다. *단점 : 유지보수의 어려움 있다. *id를 선택할 때는 #을 사용한다. *class를 선택할 때는 .(마침표)를 사용한다. -HTML 외부에 Style 지정 방식 *장점 : 유지보수의 용이하다. code가 간결하다. *단점 : 파일을 따로 관리 *외부파일에서도 id는 #을, class는 .(마침표)를 사용하여 선택한다. *link 태그를 사용한다. *href는 파일경로를 입력해야 한다. *아래사진 .. 2020. 5. 20.
Javascript - 유효범위(Scope) 유효범위(Scope) - 유효범위는 변수의 수명을 의미한다. - 함수 밖에서 변수를 선언하면 그 변수는 전역변수(global)가 된다. - 함수안에 함수에서 선언한 변수나 for나 if문 같은 block scope 안에 있는 변수는 지역변수(local)이 된다.(하단에서 추가 설명) - 하기 사진을 보면 *greeting은 전연변수로 선언이 되어서, greetSomeone 함수 안에서는 호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함수가 끝나고 변수를 호출 했을 때는 호출이 불가능 하다. *전역변수보다는 지역변수 사용이 좋다.(전역변수와 지역변수와 이름이 같을 때, 혼동이 오기 때문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꼭 선언 해주는 var, let, const를 사용 하는 것을 추천 한다.(선언 해주는 키워드를 사용 하지않으.. 2020. 5. 19.
Javascript - 문자열 메소드(method) 배열과 마찬가지로 문자열에도 메소드가 있다. 하지만 문자열의 메소드는 immutable 하다!! ** 참고 문자열 메소드는 배열의 있는 메소드와 유사하다. 그 이유는 문자열 내부함수가 실행할때, 배열로 만든 후 코드를 실행하고 새롭게 생성된 배열까지 삭제 한 후 return값을 반환 해주는 내장 함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열에 있는 메소드를 대부분 사용하는 방법이 유사하다. 또한, 새로운 배열에서 함수를 처리하기 때문에 문자열 메소드는 전부 immutable 하다(이 내용은 prototype이라는 내용에서 자세히 언급하겠지만, 아직도 어려운 내용이다. prototype ㅎㄷㄷ... ==> MDN에서 메소드를 보면 String.prototype.indexOf()같은 내용을 보았을 것이다.) ** 문자열 .. 2020.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