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4

Javascript - 객체지향프로그램(Object Oriented program) Javascript는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레고 블럭처럼 조립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객체지향프로그램은 말 그대로 객체를 지향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객체를 만드는 것에서 부터 시작된다. (추가내용(6/17) 절차지향프로그램이 있다. 절차진행 프로그램은 함수나 코드를 만들어 놓고 어떻게 절차대로 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 재사용의 어려움이 있다.) 앞서 객체를 만들때 선언하고 변수에 중괄호를 활당하여 객체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let p1 = {};) 하지만 이것은 객체 리터럴(literal)에 불과하다. 리터럴의 뜻은 '문자그대로의' '직역의'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선언하고 변수에 중괄호를 할당하는 것은 객체를 표기하는 값이다. 실제로 객체는 서로 연관된 변.. 2020. 6. 5.
CSS - z index HTML을 꾸미다 보면 겹침이 발생 할 때가 있다. 이럴 때, CSS 효과를 통해서 우선 순위로 보여주는 기능이 z-index 이다. 'Good morning' 밑에 'Hello world' border 효과를 준 것이 있다. z - index 효과를 주지 않으면 나중에 나온 #b 항목이 우선순위를 가진다. 이 때, z - index 효과를 주면 'Hello World'글을 우선순위로 가져올 수 있다. *z-index : 값을 줄 수 있는데 숫자가 클수록 우선 순위를 가진다. *z-index는 값을 지정 해줄 수 있지만, auto라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auto를 주면 나중에 효과가 없었던 것 처럼 나중에 준 우선 순위를 가진다. #CSS#z-index#우선순위#겹침 2020. 6. 4.
Javascript - 재귀함수(recursion) 재귀함수는 함수의 반환 값으로 자기 자신 함수를 호출 하는 함수를 말한다. 규칙성이 있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 하면 좋다. 재귀함수 예제로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해서 재귀함수를 설명 하겠다. 피보나치 수열을 공식으로 이야기하면 복잡하지만, 피보나치 수열을 흔히 전전항과 전항을 합치면 다음수가 되는 수열이다.(0과 1 제외) 피보나치 수열을 재귀함수로 표현을 하면 아래 사진과 같다. *n=0 일 때, if 조건문에 따라 0을 반환 *n=1 일 때, if 조건문에 따라 1을 반환 *n=2 일 때, else if 조건문에 따라 fibo(n-1) + fibo(n-2)가 실행이 된다. 즉, fibo(1) + fibo(0) 값을 호출하여 반환한다. *n=3 일 때, else if 조건문에 따라 fibo(2) .. 2020. 6. 3.
Javascript - 익명함수 이전 함수 글에서 함수를 선언하는 게재했다. 함수를 선언 할 때, function 함수명 (parameter){ 코드 return} 이렇게 정의했다. 이번에 정의할 내용은 익명 함수이다. 즉, function 함수명에서 함수명을 정의 하지 않고 사용하는 함수이다. 이전 배열 함수형 메소드에서 등장하는 callback 함수에서 자주 사용된다. 함수형 메소드에 사용되는 예제를 보면... Array.map(function(el){ retrun el * 2}) *map에 사용되는 callback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의 명을 사용하지 않고, 함수를 정의 했다. 이와 같이 함수의 명없이 함수를 선언한 함수가 익명함수이다. 익명의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으로 한가지 더 있다. 더욱 간편하다. 함수명과 function.. 2020. 6.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