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

Javascript - 재귀함수(recursion) 재귀함수는 함수의 반환 값으로 자기 자신 함수를 호출 하는 함수를 말한다. 규칙성이 있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 하면 좋다. 재귀함수 예제로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해서 재귀함수를 설명 하겠다. 피보나치 수열을 공식으로 이야기하면 복잡하지만, 피보나치 수열을 흔히 전전항과 전항을 합치면 다음수가 되는 수열이다.(0과 1 제외) 피보나치 수열을 재귀함수로 표현을 하면 아래 사진과 같다. *n=0 일 때, if 조건문에 따라 0을 반환 *n=1 일 때, if 조건문에 따라 1을 반환 *n=2 일 때, else if 조건문에 따라 fibo(n-1) + fibo(n-2)가 실행이 된다. 즉, fibo(1) + fibo(0) 값을 호출하여 반환한다. *n=3 일 때, else if 조건문에 따라 fibo(2) .. 2020. 6. 3.
Javascript - 익명함수 이전 함수 글에서 함수를 선언하는 게재했다. 함수를 선언 할 때, function 함수명 (parameter){ 코드 return} 이렇게 정의했다. 이번에 정의할 내용은 익명 함수이다. 즉, function 함수명에서 함수명을 정의 하지 않고 사용하는 함수이다. 이전 배열 함수형 메소드에서 등장하는 callback 함수에서 자주 사용된다. 함수형 메소드에 사용되는 예제를 보면... Array.map(function(el){ retrun el * 2}) *map에 사용되는 callback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의 명을 사용하지 않고, 함수를 정의 했다. 이와 같이 함수의 명없이 함수를 선언한 함수가 익명함수이다. 익명의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으로 한가지 더 있다. 더욱 간편하다. 함수명과 function.. 2020. 6. 2.
Javascript - rest parameter(...array) rest parameter는 다른 말로 spread syntax라고도 한다. 들어오는 인자가 만약 배열이라면, rest parameter을 활용하여 배열안에 있는 element를 순차적으로 매개변수에 넣어 주는 역할이다.(객체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배열에 주로 사용 되기 때문에 배열만 설명) ...array - 형태는 앞에 ...(마침표를 3개를) 사용해 표현할 수 있다. - 들어오는 인자는 객체이거나 배열인 형태를 가질 때 사용이 가능하다. *...array는 배열안에 있는 element들을 하나씩 매개변수에 넣어주는 역할이다. *array를 console.log를 활용하여 출력을 하면 element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정해지지 않은 인수 배열로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 2020. 6. 1.
Codestates Full time 4주 후기 5월 29일 codestates Full time을 수강한지 4주가 되었다. 수강이 끝나고 나서 이전 precourse에서 놓쳤던 개념을 한번 더 복습할 수 있어서 좋았고, 개념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채워졌다. 특히, javascript로 이벤트를 넣는 개념을 많이 어려워 했는데, 이번에 복습하며서 개념적으로 다시 잡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벤트 자신 할 정도로 잘하지는 못한다. 복습을 했지만, 재귀함수는 들어도 잘 모르겠다. 더욱 공부가 필요하다. 2주후기에서 작성한 것처럼 역시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웠다. 내 머리속에 있는 것을 설명한다는 것이 어려웠다. 생각 한것을 말로 표현 한다는 것이 어렵다. 또한, 페어가 성격이 급해 내말을 잘라버리면, 뭔가 막혀서 다음 내용이 설명이 안된다. 이번 2주에서도 주.. 2020.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