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4 Javascript - 배열 메소드(method)(2) 배열 메소드(method)(1)에는 배열에 element를 추가 / 삭제하는 기능을 가진 메소들이며 mutable 한 메소드들 이였다.(배열 메소드(method)(1)에 이전 글 링크 걸어 두었습니다.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tistory에 장점이네요 html로 조작함) 배열 길이 측정 -Array.length ==> 배열의 element 수 측정 기능 *소괄호() 사용 없음 *return 값은 element 수!!! *주의할점은 index와 측정 하는 방식이 다르다. index의 시작은 0부터 시작하지만, element 수를 측정 할 때는 1부터 시작한다.(현실에서 물건을 세듯이) 배열 합치기(배열끼리와 element끼리) / 복사 방법 -Array.concat(argument) ==> 배열을.. 2020. 5. 15. Javascript - 배열 메소드(method)(1) 배열 메소드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에 내장되어 있는 함수를 이용하여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있다.(배열을 제어한다는 의미) -메소드의 설명에 앞서, 메소드를 하고나서 기존의 배열 형태가 변하는 것을 mutable 변하지 않는 것을 immutable 이라고 한다. *기존의 배열이 변하지 않게 하려면, 다른 배열을 선언 후 거기에 배열을 element들을 복사하여 거기에 넣어 주어야 한다. -메소드의 사용에 앞서, 메소드를 사용하고 어떤 값이 return(반환) 되는지 가장 중요!! 배열 element 추가 / 제거 방법 -Array.push(argument) ==> 배열 element 뒤에 추가하는 기능 *소괄호() 안에 있는 argument를 element 뒤에 추가하는 메소드 이다. *return 값은 .. 2020. 5. 14. Javascript - 함수(function) 함수 -로직을 작성 후, 필요할 때 마다 가져다 쓸 수 있는 기능이다. -형식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 코드 return 반환 값 } - 함수는 필요할 때 마다 재사용이 가능 하기 때문에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 함수를 호출은 함수명()를 해주면 된다.( 함수명 + 소괄호 ()가 있으면 실행이 된다.)(인자가 생략 할 수 있다.(매개변수가 없다면)) - 매개변수(parameter)는 인자(argument)를 넣는 변수이다.(아래 코드에서 parameter는 num이다.) - 인자(argument)는 매개변수의 값이다.(아래 코드에서 argument는 4이다.) - return은 함수를 실행 시킨 결과 값을 반환하는 것이다. 동시에 함수를 종료시킨다. - 함수는 함수라는 형태를 가지고 .. 2020. 5. 13. Javascript - 객체(Object) 객체(object) - 배열과 유사하게 여러개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수이다. - 배열과 큰 차이점은 배열은 javascript에서 index를 자동으로 할당 해주지만, 객체는 직접 문자열 형태로 입력 해야한다. - 객체를 도식화하면 아래 사진과 같다.(배열과 유사) 객체특징 - 장점(배열과 유사) - 객체를 도식화 하면 하기 표1 와 같다. - 객체와 배열의 차이점은 하기 표2와 같다. - javascript를 잘하려면 객체를 잘 이해 해야 한다.(이곳 저곳에서 주워 들음)(이유는 javascript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며, 함수도 객체이기 때문이다. 이것 때문에 javascript가 함수에 있어서 강력한 힘을 발휘함. 함수도 값으로 사용이 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인자로도 사용할 수 있다.)(나.. 2020. 5. 13.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반응형